NAS?
Network Attached Storage(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의 약자로 사용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효과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파일 전용 스토리지 디바이스 따라서 하드와 인터넷의 결합된 서버의 형태로 외내부에서 언제든 하드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보관하고 수정하고, 관리하게 해주는 하나의 서버(NFS → 프로토콜) NAS는 데이터 스토리지 및 파일 공유 요청만 처리하는 특수 서버로 빠르고 안전한 안정적인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함
꼭 전용 나스 장비가 아니어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자료를 공유할 수만 있다면 바로 NAS가 됨
중요도 (AWS 자료)
- 효과적이고 확장 가능하며 저렴한 스토리지를 제공함 . 다른 서버에 비해 NAS 파일 서버는 더 빠른 데이터 엑세스를 제공하고 관리가 더 용이함
- private 전용 이메일 시스템, 회계 데이터베이스 ,급여 , 비디오 녹화 및 편집 등등 다양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함
구성요소
- 물리적 스토리지 디바이스 → NAS 디바이스는 RAID로 구성되는 2~5개의 HDD를 포함할 수 있음
- 중앙처리장치 → 컴퓨팅 인텔리전스(? 무슨 뜻인지 모름 인공지능을 통해 뇌과학 연구하는 내용인거 같은데 여기서 그 뜻으로 사용한건진 모르겠음 누가 알려줬음 좋겠음) 와 파일 시스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CPU 존재
- 운영 체제 → 단순한 NAS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복잡한 NAS는 자체 운영 체제와 함께 제공됨
- NIC
저장 방식
파일 스토리지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고 파일을 폴더로 구성하는 대중적이고 친숙한 기술 → ex) ftp
블록 스토리지
파일을 더 작은 청크 또는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을 고유한 주소 아래에 별도로 저장함 고유 주소를 사용하여 블록을 파일로 리어셈블함 → 디렉토리 구조를 살펴보는 것보다 빠르게 불러옴
객체 스토리지
계층이나 구조 없이 저장된 개별 데이터 단위로 각 객체에는 데이터,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어티와 고유 식별 번호가 부여됨 → 이 정보로 소프트웨어가 객체를 찾아 액세스 하는 것
리눅스 시스템은 NFS프로토콜을 이용하고 마소는 SMB를 이용하여 구축함 MAC은 AFP라는 독점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축
NAS vs SAN
SAN :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로 다양한 스토리지 디바이스와 서버를 연결하는 전용 고속 네트워크. SAN을 사용하여 모든 스토리지를 중앙 집중식으로 엑세스하고 보호할 수 있음 RAID 및 데이터 중복 제거와 같은 추가 기술을 사용하여 용량과 신뢰성을 최적화하는 기술임
nas는 파일 시스템으로 작동하고 san은 운영 체제로 작동함 따라서 NAS는 개별 파일 요청을 처리하지만 SAN은 연속적인 데이터 블록에 대한 요청을 관리함 SAN은 사용자에게 더 유연하지만 설정과 관리 면에서 더 많은 비용을 요규함
시놀로지
NAS장치의 전문 회사 저는 SAN처럼 비슷한 활용의 다른 이론, 개념인줄 알았는데 Cisco 같은 NAS 시장의 지배기업인 것 같네요
NAS가 파일 시스템인건 알았는데 ftp나 이런 친구들과는 다른 좀 더 고도화된 기술인줄 알고 있었는데 크게 다를건 없네요. 그래도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보다 확실히 활용도도 높고 더 최적화된 기술인거 같습니다.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itter (0) | 2023.01.19 |
---|---|
IP SLA (0) | 2023.01.13 |
ospf virtual link (0) | 2023.01.11 |
frame rewrite - Life of Packet (0) | 2023.01.08 |
CBAC(context-based access control),Packet Tracer에서 해보는 방법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