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허 오늘은 너무 공부가 하기 싫어서 예전에 배웠던거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취미가 공부가 되는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
ospf virtual link?
ospf를 배울때 가장 기본적으로 배우는 ospf의 특징이 있습니다. ospf에는 area 설정을 해줘야 한다. area 0이 ospf의 백 본 area이다. 또한 모든 area는 결과적으로 백 본 area에 연결되어야 통신될 수 있다. 너무 당연한 사실이지만 네트워크 구축을 하다보면 어쩌다보니 area를 백본에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때 연결되지 않은 백본을 연결된 것처럼 해주고 통신이 되게 해주는 것이 ospf virtual link입니다.
transit area?
지금 토폴로지를 보시면 area2 -> area1 -> area0 순으로 연결돼 있습니다. 이는 ospf 이론 상 통신이 불가능하죠
따라서 virtual-link를 설정해야하는데 이때 area2 와 area 0를 연결하는 이 area 1 을 transit area 라고 합니다.
따라서 area 1 즉 transit area의 경계면에 있는 라우터0과 라우터0(1)에 virtual-link 설정을 해주는 겁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라우터 id를 이용해서 virtual-link를 맺기 때문에 이 점 주의 하시는게 좋습니다. ospf 라우터 id는 따로 지정해주시는게 좋은데 지정해주시지 않으면 설정된 대역대의 가장 낮은 ip를 라우터 id로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마 되게 설정하기 까다로워질겁니다.
설정을 완료하시면 양쪽의 라우터에서 sh ip ospf virtual-links // sh ip ospf neighbor로 router 3.3.3.3 is up 이라는 문구와 함께 연결이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패킷도 정상적으로 통신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설정법
#router0
router ospf 1
router-id 3.3.3.3
area 1 virtual-links 2.2.2.2
#router0(1)
router ospf 1
router-id 2.2.2.2
area 1 virtual-links 3.3.3.3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SLA (0) | 2023.01.13 |
---|---|
NAS (0) | 2023.01.12 |
frame rewrite - Life of Packet (0) | 2023.01.08 |
CBAC(context-based access control),Packet Tracer에서 해보는 방법 (0) | 2023.01.08 |
stateful inspection 상태 저장 검사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