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네트워크 일반

홈랩 구성 - LAN Port Troubleshooting

코춘대길 2025. 6. 23. 22:51
728x90

오늘은 홈랩 구성을 하면서 오랜만에 뿌듯하고 생산적인 일을 했다고 생각하여 어떤 트러블 슈팅 상황을 겪었는지 공유하고 싶어 글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ㅎㅎ
 

문제인식

기존에 홈랩을 구성할 때 서버의 가용성을 위해 랜카드를 2개 설치하고 랜카드 본딩을 구성하려고 했습니다.
 
기존에 제 방의 벽포트를 모두 뚫어 사용했던 적이 있었기 때문에 한 랜카드는 벽포트에 직결하고 한 랜카드는 저의 방에 설치된 CISCO CBS110 시리즈에 연결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서버에 설정을 완료하고 나니 CBS110 스위치에 연결된 랜카드는 정상 작동하나 벽포트를 통해 모뎀에 직결되었을것으로 예상한 랜카드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모뎀을 직접 확인하려고 했으나 으악;;; 단자함 앞의 끔찍한 짐덩이와 급한일도 아니다보니 매번 미루고 미루고 있었습니다.
 

원인파악

드디어 날을 잡고 해결해보기로 하였습니다.

먼저 원격으로 모뎀에 접속해 4개의 포트에 모두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후, 랜포트가 연결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CBS110 스위치를 이상포트에 다시 연결해보았습니다.
 

전기신호는 정상적으로 주고받는데 어떠한 트래픽도 모뎀과 주고받을 수 없는 것을 확인했고 뭔가 모뎀과 벽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구간에 이상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귀찮아서 1년을 안열어봤던 단자함을 드디어 오픈…
 

가장 먼저 눈이 갔던 것은 벽면에 마운트 되어 있는 허브와 좌측에 붙어있는 단면도였습니다.
 

우선 허브에 혼자서 점등되어 있는 랜선을 확인했습니다.
 
랜테스터기를 통해서 문제가 발생중인 벽면포트 쪽의 랜선과 테스트를 해보니 해당 회선이 현재 이상이 있는 포트와 연결된 랜선이란 것을 알았습니다.. 모뎀과 정상연결되어 발생한다고 생각했던 점등이 사실 허브와 연결되어 들어오던 것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허브에서 모뎀과 업링크를 찾아야하는데…이때 사실 단면도를 발견하지 못해서 도대체 어떤 회선이 업링크일까 고민을 많이했습니다.
 

그러던 중 모뎀의 각 포트에 연결된 랜선에 약식으로 선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좌측 단면도를 확인해보니 단면도에 표시된 번호와 랜선의 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보여 번호를 대조해보았습니다.
 

앞전에 관리페이지에서 어떤 포트에 어떤 장비가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했기 때문에 랜선의 선번대로 단면도의 위치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여기까지 오면서 알 수 있는 점은 놀랍게도 모뎀과 연결되어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해당 포트는 모뎀과 연결이 없었던 겁니다.
 
단면도와 단자함내에 있는 랜선의 “선번”들을 대조해보면 결국 허브와 모뎀간에 업링크는 따로 없었습니다…!!!
 
분명 제가 예전에 통시사 엔지니어를 불러 포트 연결을 하고 해당 포트로 랜을 이용했던 기억이 있는데….기억 조작을 당했는지 중간에 포트 변경을 했었나봐요….
 

문제해결

이제 문제의 원인을 모두 파악하였고 이 업링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해결방법을 설명드리기 전 모든 작업은 유관부서(가족들) 공유하에 진행하였습니다 ㅋ
 

해결방법1 : 허브에 업링크 추가하고 하위 랜선을 모두 허브로 이동시키자

처음 시도 했던 방법은 단자함 허브와 모뎀간에 업링크 회선을 연결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모뎀에 포트가 부족하기 때문에 기존에 정상작동하던 포트의 업링크를 단자함 허브로 변경하였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구성하니 포트의 통신 문제는 해결됐으나 허브의 특성에 의해 응답시간이 확연하게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에 1G Port였던 것이 100Mbps 대역폭으로 잡힌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처음에는 auto-nego가 문제가 있나 생각하여 모뎀 포트의 속도를 1G로 수동설정하니 네트워크가 다운됐습니다….허브가 100Mbps밖에 지원하지 않아 nego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포트를 차단한 것 같습니다.
 
급하게 다시 모뎀의 speed 설정을 auto로 변경하고 나니 정상 복구되어 위 판단을 확신하였습니다.
 
기존의 1Gbps 대역폭은 포기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해결방법2 : 허브를 대체하자

1Gbps의 속도와 안정적인 지연시간(허브의 브로드캐스팅으로 발생하는....)은 포기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결국 방에 있던 CBS110 스위치를 마운트되어있는 허브대용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위와 같은 구성을 하였습니다.
 
CBS110을 옮기면서 처음 구성하려고 했던 본딩은 한발짝 물러갔습니다…
 
PC를 CBS110에 연결하지 않은 이유는 CBS110을 타게되면 제가 하는 게임에서 지연현상이 발생하여(원인불명…..취미생활도 중요하다보니 ㅎㅎㅎ) 이왕 이렇게 된 것 컴퓨터는 CBS110을 타지 않고 모뎀으로 직결되게 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모뎀 포트가 부족하여 거실의 AP 연결을 CBS 110으로 변동하였습니다.
 

음하하하 모두 해결했습니다.
 
정상적으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고 가장 중요했던 벽면 포트의 사용 불가 현상을 해결했습니다.!
 
유관부서(가족)의 업무점검도 완료했습니다.
 
인터넷 회선이 500Mbps 회선이어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입니다.! 통신사에서 인터넷회선 업링크를 배를 갈라서 설비해놨던데(괘씸한 인간들;;)....이거만 아니면 업링크도 1Gbps 나올지 모르겠네요 집에 가입된 상품이 뭔지 몰라 추측해봅니다. 
 

구성을 변경하면서 옮겨서 연결한 선이 많아 ping 유실이 있진 않을까 싶어 구글 DNS에 Ping test를 진행해보았습니다.
 
Ping이 유실되거 하는 현상이 없는지 확인하였고 문제 없음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이제 원래 하고 싶었던 제 방에 있는 서버의 본딩 구성을 위해서는 스위치를 새로 구매해야합니다 ㅠㅠ
 
managed 24port poe 스위치 추천 바랍니다 ㅎㅎㅎ...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