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2년 중후반 쯤에 트위치 망 사용료 이슈가 터졌었습니다. 그때 저희 선생님께서 해주신 얘기가 있었는데 CDN에 대한 얘기가 있어가지구 그땐 몰라서 정리를 안했으나 지금은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SP 티어
피어링만으로 전세계 연결 → 1티어 ISP (대부분 미국, 유럽 지배 기업 , 일본 기업) 대부분을 피어링 하지만 몇몇은 1티어 ISP 와 트렌짓으로 연결해서 사용 → 국내기업 : KT , SKT 일부 피어링 하고 2티어와 트렌짓하여 사용 → 국내기업 : LG
무선 < 유선
속도는 절대적으로 느리나 무선이 지연 속도가 낮다
스타링크 —> 기존 ISP 에 비해 압도적 세계적인 하나의 거대 ISP
회선 사용비용은 아쉬운 놈이 내는거임
사용량이 많은 놈들이 더 많이 내는거임
다양한 CP 들 중 돈 많으면 1티어 가입
대표적 예 : 유튜브
대안 : 지역별로 지사 (캐시 서버) 를 두고 요청이 있을때마다 본사 서버에서 보내는게 아닌 캐시 서버에서 보냄 → 캐시 서버 사용료는 누가 낼거냐가 문제 → 딱히 정확한 법이 없음
결국 소비자가 돈을 계속 더 많이 내게 되는 구조
어쩌다 이렇게 됐나?
예전엔 CP 가 약했으나 (ISP 가 갑) 지금은 CP 가 ISP 보다 갑이 됨 → CP 가 ISP 가 될 수 있음 서비스 독점 가능
우리나라 ISP 가 좀 많이 받긴 함 , 근데 표준가격이 있는게 아니라 상황별로 받는거라 뭐라 하긴 그럼 생각해보면 맞음 우리나라는 대부분 회선을 해저 광케이블을 사용할텐데 비용차이가 많이 날 수 밖에 없다 → 상당히 동의함
대충 이런 ISP에 대한 얘기를 해주셨었습니다. 대안 얘기를 해주시면서 CDN에 관한 얘기를 해주셨었는데 이제서야 정리하게 되네요
CDN?
서비스 제공에 관한 지연시간은 매우 많은 요인들이 작용하겠지만 이를 줄이는 방법 중 하나는 바로 물리적인 거리를 줄이는 것입니다. 물리적인 거리를 줄여 콘텐츠 로딩의 시간을 줄이는 것인데 이를 어떻게 구현할까요. 서버를 서비스 지역마다 옮겨다닐 순 없잖아요
바로 캐시 서버를 두는 것입니다. 서비스하는 각 지역별로 캐시서버를 두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캐시 서버에서 처리하는 것입니다.
동영상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쇼핑몰, 대용량 파일 전송 등에서 효과적이며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만 호스팅하는 서비스일 경우 오히려 시스템 부하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네트워크 > 클라우드 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로드 밸런서 기초 설정 (1) | 2023.01.13 |
---|---|
AWS EFS (0) | 2023.01.10 |
AWS 피어링 설정 (1) | 2023.01.10 |
220102 AWS 이론 공부 (0) | 2023.01.03 |
클라우드 컴퓨팅 기초 이론 정리 (0) | 202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