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볼 명령어
pwd, ls, touch, mkdir, cd, cat, rm, rmdir
A. pwd
pwd 는 현재 디렉토리 위치를 출력해준다.
B. ls
ls 는 기본적으로 디렉토리 내용을 출력해주는 명령어로 기본 구조는 ls [옵션] [위치] 입니다.
1. ls -a : 디렉토리의 숨겨진 파일을 포함하여 모두 출력
2. ls -l : 디렉토리의 세부사항까지 출력
3. ls -R : 현재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파일까지 함께 출력
C. cd
cd 는 파일을 이동하는 명령어로 cd [이동할 위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현재 디렉토리 안에서 하위 디렉토리의 파일이름을 입력하거나 절대경로와 상대경로를 통해서 이동도 가능합니다.
1. cd ~ : home 디렉토리로 이동
2. cd ../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D. mkdir
mkdir 은 디렉토리를 만들어주는 명령어로 mkdir [옵션][파일명] 로 사용합니다.
1. mkdir -p [파일명] : 상위디렉토리도 함께 생성
mkdir 을 설명하면서 rmdir 도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짐작가셨지만 remove directory 로 생성한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사용법은 mkdir 과 동일하게 rmdir [지우고 싶은 파일명] 입니다.
E. rm
rm 명령어는 rmdir 과 유사한 삭제 명령어지만 디렉토리를 삭제하는게 아닌 파일을 삭제 하는 명령어입니다.
rm [파일명] 로 사용됩니다.
1. rm -r : 서브 디렉토리까지 함께 삭제 -> 디렉토리를 삭제하고 싶을경우 -r 을 이용
2. rm -v : 삭제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출력
3. rm -f : 삭제 여부를 묻지않고 강제로 삭제
다른 명령어를 알아보기전 알아볼 것 : 리다이렉션
리다이렉션이란?
- 명령어를 실행할 때 표준 입력과 표준 출력의 방향을 재지정하는 기능
1. 명령어 > 파일명 : 프로그램의 결과를 파일로 저장
2. 명령어 >> 파일명 : 프로그램의 결과를 기존 파일 데이터에 추가
3. 명령어 < 파일명 : 파일의 데이터를 명령에 입력
F. cat
cat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지만 앞에서 알아본 리다이렉션을 이용해 파일은 만들수도 있고 다른 파일을 덮어 씌우거나 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G. touch
touch 는 상당히 간단한 명령어로 파일의 시간 정보를 현재 시각으로 변경하는 명령어로 touch [파일명] 으로 사용합니다.
만약 파일명이 존재하지 않는 파일명이라면 0byte의 빈 파일을 생성합니다.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처리장치- CPU 실행주기 (0) | 2022.01.19 |
---|---|
중앙처리장치-정의,구성 (0) | 2022.01.19 |
어셈블리 스택프레임 (0) | 2021.11.07 |
어셈블리어 레지스터 (0) | 202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