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적라우팅과 다르게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 RIP,OSPF,EIGRP,IGRP,IS-IS 등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RIP
거리 백터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인 RIP 는 경유할 수 있는 라우터의 개수를 홉 카운트로 수치화하여 호스트와의 경로를 동적으로 교환한다. 모든 동적 라우팅이 그러하듯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까지의 최단 경로를 결정한다.
RIP 에는 V1 과 V2 가 있는데 V2만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실 둘이 별 차이가 없다 v1 은 flsm 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만 기억해도 충분하다.)
장점
- 설정이 간단하다.
-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나 대형 네트워크의 말단 지점에서 사용하기 좋다.
-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이라 모든 곳에서 사용가능
단점
- Metric 을 Hop-count 로 사용한다 -> 가장 적은 Hop-count 가 최적 경로 (Hop-count == 라우터 수)
- 최대 Hop-count 수가 15개라 대형 네트워크에서는 사용 불가능
- 정보 전송 방식이 비효율적 - > 무조건 30초마다 인접 라우터에 라우팅 테이블 내용 전체를 전송한다. (wire shark 이용해서 확인가능)
설정 방법
관리자 모드에서 router rip -> ver 2 -> no auto-summary -> network [network id address]
no auto-summary 를 왜 해주느냐하면 rip 는 말 그대로 자동축약을 지원한다. 슈퍼넷팅이란 친구를 이용해서 비슷한 ip 대역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줍니다. 근데 네트워크가 좀 커지거나 비슷한 ip 가 생성되면 트래픽이 꼬일것입니다. 따라서 no auto-summary 를 하는 것을 권장한다.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S 공격 - LAND ATTACK (0) | 2022.01.22 |
---|---|
DOS 공격 - SYN FLOODING (0) | 2022.01.22 |
ARP (0) | 2021.09.10 |
소전 3일차 VLSM,FLSM (0) | 2021.07.26 |
소전 2일차 IP address (0) | 2021.07.24 |